불황 장기화..신용불량자 쏟아진다

2012. 10. 7. 18: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대 은행 23만명…생활자금·학자금 등 소액대출 연체가 48%

금융권에서 상대적으로 신용이 좋은 사람들이 주로 찾는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에서도 금융채무 불이행자(신용불량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대 시중은행이 정호준 민주통합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대출 원리금을 3개월 이상 갚지 못한 신용불량자 수가 누적 기준으로 2009년 말 16만874명에서 지난 6월 말 23만5072명으로 늘었다.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가 장기화해 가계의 빚상환 능력이 떨어지면 신용불량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국회 정무위 소속 의원 대부분이 금융감독 당국에 대출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한 점에 비춰볼 때 8, 9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국정감사에서 가계 부채와 신용불량자 해법을 두고 정치권과 금융감독 당국이 뜨거운 공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불량자 급증 전망

4대 시중은행의 신용불량자 수는 4년째 증가 추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실제 2009년 말 16만874명을 기록한 뒤 △2010년 말 18만9060명 △2011년 말 21만4807명 △2012년 6월 말 23만5072명으로 계속 늘어났다.

특히 최근 들어 신용불량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에 대해 "경기 침체 장기화로 빚을 제때 갚을 수 있는 가계의 상환 능력이 약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규 신용불량자의 경우 2010년 5만4754명에서 2011년 7만1052명으로 증가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5만6432명이 새로 신용불량자로 떨어졌다. 이런 추세라면 추가로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사람이 10만명을 웃돌 수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8월 말 기준)은 1.01%로 전달보다 0.08%포인트 올랐다. 1%를 넘은 것은 2006년 10월(1.07%) 이후 6년 만이다.

◆소액 대출자 연체 비중 높아져

4대 은행의 신용불량자 중에서 연체액이 1000만원 미만인 사람의 비중이 늘어나는 게 특징이다. 신용불량자들을 연체액 기준으로 △1000만원 미만 △1000만~5000만원 미만 △5000만~1억원 미만 △1억~2억원 미만 △2억원 이상 등으로 분류했을 때 1000만원 미만에 해당하는 사람은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22만8829명이었다. 이는 전체 신용불량자 중 48.6%에 해당한다. 2009년 42.8%보다 늘어난 것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1000만원 미만 대출일 경우엔 생활자금이나 학자금 등의 용도일 것으로 추정한다"며 "이들 고객의 경우 연체액을 갚지 못해 시중은행 대출이 막히면 제2 금융권으로 넘어가 다중채무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사례도 많아지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올 3월까지 신용등급이 우량한 1~4등급 대출 고객 중 신용불량자로 분류된 비율은 1% 수준에 불과했지만 7~9등급은 이 비율이 10~20%에 이른다. 최하위 등급인 10등급은 39.1%에 달했다.

박신영/김일규 기자 nyusos@hankyung.com

유명 女가수 "아이 생기는대로 수술" 충격 고백

유명 방송인, '아동 포르노' 즐기다가 결국…

'파격 19금 드레스' 오인혜 충격 고백 "부모님이…"

박지성 떠난 맨유 경기장에 욱일승천기 등장하자 해설자는

곽현화, 안고 싶은 여자 다? 에로틱한 분위기 '호기심 자극'

[ 한국경제 구독신청] [ 온라인 기사구매] [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 성공을 부르는 습관 >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