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은 청년일자리 23% 줄어..나빠진 고용의 質(종합)

조슬기나 2015. 10. 12. 11:2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년층 신규채용 10년새 10만명 감소…더 심각한 건 '질' 악화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전체 일자리도 줄었지만, 괜찮은 일자리는 더 줄었다. 최근 우리나라 청년층 노동시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양적 부진과 질적 악화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10년 전보다 연간 신규채용 규모는 10만명 이상 축소됐고, 비정규직ㆍ저임금 일자리 비중은 높아지는 추세다. 스스로를 'N포세대'라 부르는 대한민국 청년들이 서 있는 현 주소다.

12일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층 신규채용 규모는 73만4000명을 기록했다. 정부가 '청년고용'을 화두로 삼았던 올해 3월 기준으로는 76만4000명이다. 이는 10년 전인 2005년(86만7000명)과 비교해 10만명 이상 줄어든 수준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격탄을 맞아 채용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던 2009년(78만2000명)과 2010년(79만2000명) 보다도 적다.

청년층 신규채용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보다 줄어든 것은 그만큼 기업들이 현 경제상황을 불확실하게 바라보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해 말부터 정부가 채용확대를 주문해왔지만, 경기상황이 나아지지 않는 한 전체 고용의 80%이상을 담당하는 중소ㆍ중견기업까지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다.

반면 취업에 애로를 겪는 청년의 수는 110만명을 넘어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청년층 생산가능인구가 2005년 992만명에서 2014년 950만명으로 매년 줄고 있다는 것과 대비된다. 지난해 청년실업률은 9.0%로 전체 실업률(3.5%)을 두 배 이상 웃돌았다. 청년실업자는 38만5000명으로 2010년보다 4만5000명 늘었다. 이는 저성장 기조, 일자리 미스매치 등 경제ㆍ구조적 요인에 단기 제도적 요인까지 더해진 여파로 분석된다.

문제는 일자리 질의 악화가 더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노동연구원이 2008∼2014년 임금근로자의 일자리를 분석한 결과 전체 임금근로자의 일자리는 소폭 늘어난 반면, 청년층의 일자리는 3.7% 감소했다. 특히 청년층 일자리 가운데서도 임금수준 등 괜찮은 일자리로 평가되는 상위 일자리(8∼10분위)는 무려 23.4% 감소했다.

김복순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전체 임금근로자의 분위별 일자리 변화를 살펴보면 중간 일자리가 증가하면서 양극화가 다소 완화됐지만, 청년층에서는 사뭇 다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상위 일자리 감소가 확연하다"고 지적했다.

사라진 청년층의 상위 일자리는 교육서비스업, 제조업, 금융보험업에 집중됐다. 청년층 가운데서도 25∼29세 연령층의 일자리가 직격탄을 맞았다. 여기에는 인구감소도 주요 요인이 됐던 것으로 분석된다. 또 갓 대학을 졸업한 취업자들의 경우, 1분위 등 하위 일자리가 늘었다. 업종별로는 도ㆍ소매업, 협회ㆍ단체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서비스직 등이다.

비정규직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올해 3월을 기준으로 한 청년층의 비정규직 비중은 1년전보다 0.7%포인트 높은 33.1%를 기록했다. 이는 시간제 일자리의 영향이 크다.

시간제 일자리로 근무하고 있는 청년층 규모는 2007년3월 28만9000명에서 올해 3월 53만6000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일자리 증가율은 15.5%로 전체 임금근로자(0.1%)를 훨씬 웃돈다. 또 청년층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은 정규직 대비 80.3%에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2009년 기준 87.0%)보다도 격차가 더 확대됐다.

최근 들어 청년층 취업자가 대인서비스 등 서비스업 중심으로 늘고 있다는 점도 저임금 청년층 근로자가 늘어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청년층 취업자 가운데 서비스업 종사자는 79.7%로 전체 취업자 비중(70%) 대비 10%포인트 가량 높다. 특히 음식숙박업의 경우 청년층 근로자 10명 중 5명꼴인 46.5%가 고용이 불안정한 시간제 일자리로 나타났다.

일하지 않고 일할 준비도 하지 않는 청년 니트(NEETㆍ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족은 지난해 111만7000명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는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구직활동조차 전혀 하지 않는 비구직 니트(81만5000명)의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8~9%대로 치솟은 상태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