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49년 만에 잔업 폐지..1·2조 8시간씩 근무
유급휴일 근무·휴게시간 축소로 생산량 만회…근로자 건강증진 기대
근로시간 감소·생산성 향상 노사합의로 "상생 기틀 마련" 평가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 현대자동차가 11일부터 잔업 없이 '8시간 + 8시간' 근무형태의 주간연속2교대제를 시작한다.
1967년 울산공장 준공 이후 49년 만에 잔업이 없어지는 것이다.
현대차는 정규근무와 잔업을 포함한 '10시간 + 10시간'의 주야 2교대 방식을 유지해 오다가 2013년 3월 '8시간 + 9시간'의 주간연속2교대제를 도입해 밤샘 근무를 없앴다.
잔업을 아예 없애는 8 + 8 근무는 1조가 오전 6시 45분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2조는 오후 3시 30분부터 다음 날 오전 0시 30분까지 일한다.
8 + 9 근무 때는 2조가 익일 오전 1시 30분까지 1시간 정도 잔업했으나 이제 퇴근 시간이 빨라진다.
1인당 하루 근로시간은 10 + 10 근무형태와 비교해 연간 293시간(14.1%)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노사는 근로시간 축소에 따른 생산량 보존을 위해 생산성 향상과 추가 작업시간을 확보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시간당 생산속도(UPH)를 14.1대 올리는(연간 5만4천대) 등 생산성을 높이기로 했다. 이는 459.4대(울산·아산·전주공장 전체 누계 규모)에서 473.5대로 오르는 것이다.
또 2조 근로자 휴게시간을 조정해 추가 작업시간 20분을 확보했다.
단협상 유급휴일이던 식목일과 제헌절에도 근무한다. 설과 추석연휴 전날 일하지 않았던 2조는 올해부터 일한다.
이를 통해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연간 12만1천 대의 감소분을 만회할 수 있다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이 때문에 부품 협력사들은 모기업 근무제 변경에도 불구하고 물량이 감소하지 않아 안정적 경영활동을 지속할 수 있다.
2조 근로자가 일찍 퇴근하는 등 일부 출퇴근 시간이 조정됨에 따라 울산·아산·전주 등 현대차 공장 주변 상가 등의 풍속도가 변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 잔업 폐지는 근로자 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평가가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8일 "8 + 8 주간2교대 시행은 근로시간 단축과 함께 생산성 향상을 통해 노사가 상생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근로자 피로도 감소, 건강 증진으로 일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지고 더불어 품질향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young@yna.co.kr
- ☞ "어떻게 할지 몰라서"…숨진 노모와 1주일 생활한 아들
- ☞ 한겨울에도 외투 못 입고 치마 짧으면 급식 안주고…
- ☞ 개그우먼 권진영 3월 결혼…"제가 생각해도 너무 신기"
- ☞ '응팔' 속 동룡이네, 알고 보니 최규하 前대통령 가옥
- ☞ 엄정화-태웅 남매 "전 소속사 건물 경매 원만히 해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현대차 노사 올해 임단협 잠정합의..연내타결 기대(종합)
- 현대차 노사 '주간2교대 근무시간 단축' 합의(종합)
- 현대차 노사 '근무시간 단축' 신경전..임협지연 우려
- '위기 공감' 현대차 노조위원장 "함께 극복하자"
- 현대차, 정년연장·근무시간 단축 등 임협안 제시(종합2보)
- 개그맨 드라이버 한민관, GTWCA 4R 실버암 3위…시즌 첫 시상대 | 연합뉴스
- 경찰,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구속영장 신청(종합) | 연합뉴스
- 화장실 성폭행 피해 비명 들은 시민이 범인 잡아 경찰에 넘겨 | 연합뉴스
- 아파트단지서 사실혼 여성 살해한 30대…스마트워치도 막지 못해(종합) | 연합뉴스
- 시흥 물왕호수서 60대 여성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