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베트남, 한국군 파병 50주년 행사 자제 요청
올해 베트남전 파병 50주년을 맞아 공식 행사를 준비 중인 정부가 딜레마에 빠졌다. 베트남 정부가 최근 우리 정부의 공식행사 개최에 제동을 건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9일 "올해는 국군의 베트남전 파병 50주년을 맞는 해로 보훈처와 외교부 중심으로 50주년 행사를 준비 중"이라며 "최근 베트남 정부에서 외교경로를 통해 우리 정부의 공식행사를 자제해줄 것을 요청해와 난처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베트남 정부는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을 부각시킬 경우 양국 간 경제와 문화 교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참전용사와 군의 사기를 무시할 수 없어 관련 부처에서 행사 추진 주체와 성격을 정하는 데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보훈처 내에는 베트남전 참전 50주년 행사 개최와 관련해 별도 태스크포스(T/F)팀이 꾸려진 상태다.
국군의 베트남전 참전은 한·미 동맹이 더욱 공고해지고, 군 현대화와 고도 경제성장의 발판이 됐다는 점에서 적잖은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고엽제 후유증과 같은 참전군인 피해, 미국의 '용병'으로 참전했다는 시각 등 부정적 논란도 끊이지 않아 정부 주관 행사에 제약이 되고 있다.
1992년 말 수교 당시 베트남이 "과거를 묻어두고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우리 정부와 합의한 점도 부담이다. 정부로선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목전에 둔 상황도 염두에 둬야 한다. 양국 교역 규모는 지난 22년간 40배 이상 늘었고, 베트남은 동남아에서 싱가포르 다음으로 큰 한국 수출시장이 됐다.
보훈처 관계자는 "4월 미국의 베트남전 참전 기념 행사를 지켜본 뒤 7월과 9월 중 정부 행사를 치를 계획"이라며 "상처를 딛고 미래로 가는 양국의 모습을 보이기 위해 전쟁의 기억보다는 '라이따이한'이나 다문화에 초점을 맞출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베트남전참전전우회 등은 정부 주관 행사를 통해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부각시키길 원해 행사 개최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베트남전에는 1964년부터 1973년까지 8년6개월간 맹호·백마·청룡부대 등 총 8개 전투부대 연인원 31만2853명이 파병돼 이 가운데 4960명이 전사하고 1만962명이 부상했다.
박병진 군사전문기자 worldp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통한 소식통에 들었다”던 박지원…이재명 파기환송에 “예상외 판결”
- "(뉴진스) 계약은 장난이 아니다" 레전드 프로듀서의 일침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이것들 봐라? 한 달만 기다려라” 민주당 ‘보복’ 예고?…하루도 안 넘기고 심우정 총장 탄핵
- '도난 피해' 박나래, 결국 눈물 쏟았다…김지연 "한결같이 잘해준 유일한 분"
- 백종원 “이제 다 바꾸겠습니다”…50억 쏟아부은 이유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