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안경 대신 카메라 렌즈, 장애인 사진 전문 나종민.."찰칵" 생명 소중함 알리다, 길고양이 사진사 안욱환

윤석만.정진우.오종택 2016. 2. 18. 02: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중기획] 매력시민 세상을 바꾸는 컬처디자이너가족사진 무료 촬영 '바라봄' 대표인간에 상처받은 동물 촬영 10년
나종민 대표에게 사진은 가족의 추억을 담는 액자다. 그는 “장애인 가족이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며 나의 기쁨도 배가 된다”고 말했다. [사진 오종택 기자]
안욱환씨의 단골 피사체는 길고양이다. 그는 “인간과 고양이는 결국 도심 생태계 내에서 공존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 오종택 기자]

“정말 행복한 표정 아닌가요. 비장애인들도 이처럼 밝게 웃진 못해요.”

 11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 바라봄 사진관. 나종민(53) 대표가 2012년에 찍은 두 모자의 사진을 보여줬다. 소아마비 환자인 60대 아들과 80대 노모의 가족사진이다. 액자 속에선 곱게 치장한 어머니와 한껏 멋을 부린 아들이 환하게 웃고 있었다. “모자는 기초생활수급자로 매달 80만원씩 받는데 몇 십 년째 기부를 하고 있답니다. 환한 표정의 이유가 여기 있던 거죠.”

 나 대표는 국내 첫 장애인 가족사진 전문가다. 2011년부터 지금까지 500여 장애인 가족의 사진을 무료로 찍었다. “제 돈 주고 찍으려 해도 일반 사진관은 여전히 장애인에게 문턱이 높습니다. 카메라만이 아니라 마음으로 사진을 찍어야 되기 때문이죠.”

장애인 가족사진을 찍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자폐아의 경우 스튜디오에 아예 서질 않으려 한다. 조명을 낯설어 하고 화장실에 들어가 문을 꼭 잠그기도 한다. 그렇게 실랑이를 벌이다 보면 어느새 부모들의 표정도 일그러진다.

 그래서 장애인 가족사진 촬영엔 특별한 노하우가 필요하다. 바로 인내심이다. “ 편한 분위기를 만들고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는 거죠. 한 장의 사진을 찍기 위해 몇 백 번씩 셔터를 눌러야 하죠.” 그가 장애인 가족사진을 찍기 시작한 것도 이 때문이다. 2011년 장애인 체육대회에 봉사를 갔는데 한 어머니가 오더니 일반 사진관에선 찍기 힘들다며 가족사진을 부탁했다. 이 일을 계기로 바라봄 사진관을 열었다.

 지난가을에는 10대인 아들과 암 판정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은 아버지의 모습을 카메라로 담았다. 어머니와 사별 후 청소년시설에 맡겨진 아들과 막일 등으로 힘겹게 살아온 아버지의 표정은 밝을 수 없었다.

왈칵 눈물이 쏟아지려는 것을 간신히 참은 것만 여러 번. 이를 악물고 두 부자에게 말을 건네며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한 달 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고 스튜디오에서 찍어 뒀던 독사진은 영정사진이 됐다.

 “사진엔 누구나 자신만이 주인공인 스토리가 담겨 있어요. 소외받고 어려운 이들에게 추억을 만들어 주는 게 제 일입니다.” 사진을 찍고 돌아간 가족들은 그에게 “고맙다” “행복하다”와 같은 문자를 보낸다. 500원짜리 동전이 가득한 저금통을 주며 다른 가족사진을 찍는 데 보태 달라는 사람도 있었다.

 최근 그는 ‘1+1’으로 비장애인 가족사진도 찍기 시작했다. 다른 사진관보다 저렴하게 가족사진을 찍고 장애인 등 소외계층에게 촬영 기회를 선물할 수 있다.

나 대표는 “‘1+1’으로 비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이 연을 맺고 친구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2014년부터는 필리핀과 캄보디아 등에서 사진봉사도 시작했다.

 지난해부터는 매달 한 가족을 선정해 ‘아름다운 하루’를 선물하기 시작했다. 나 대표의 뜻에 공감한 인근 가게 주인들이 함께 참여해 장애인 가족들이 헤어숍에서 멋지게 치장하고 사진을 찍은 후 고급 레스토랑에서 맛있는 식사를 할 수 있게 해준다. 그의 손끝에서 시작된 선행은 주변으로 퍼져 200여 명의 정기 후원자도 생겼다.

 사실 몇 년 전만 해도 그 역시 보통 샐러리맨이었다. 1980년대 대학을 다니고 외국계 IT기업에서 20여 년간 근무하며 한국 지사장까지 지냈다. 억대 연봉을 받으며 남부러울 것 없이 살았다.

그런데 50대 이후의 삶의 목표가 막막했다. “은퇴 후 먹고살 만큼 준비는 해놨지만 무엇을 위해 살지 정해져 있지 않았죠. 그렇게 고민하다 ‘소명’처럼 받아들인 것이 장애인 가족사진이었습니다.” 나 대표는 “인생의 즐거움은 물질을 얻는 데 있는 게 아니다”며 “삶에 만족하고 자신이 가진 것을 나눌 때 행복해진다”고 말했다.

 사진으로 장애인들에게 추억을 만들어 주는 나 대표처럼 카메라 렌즈에 버려진 고양이를 담아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이도 있다. 필름카메라인 ‘로모(LOMO)’만으로 사진을 찍는 안욱환(42)씨다. 이른바 ‘길냥이(길고양이)’ 전문 사진작가다.

 “길냥이를 볼 때마다 인간의 이기심과 무책임함에 미안함을 느껴요. 고양이를 길들인 것도, 또 버린 것도 인간이기 때문입니다. 생명을 상품처럼 여기는 인간의 잘못이 큰 거죠.” 안씨는 “많은 사람이 호기심으로 개나 고양이를 기른다”며 “동물을 생명이 아니라 장난감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버리지 않는다면 길냥이 문제는 해결될 수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경기도 용인의 한 아파트 화단에서 길고양이를 돌보던 50대 여성이 초등학생이 던진 벽돌에 맞아 사망한 ‘캣맘 사건’ 이후 길고양이는 사회 문제가 되기도 했다.

 안씨는 2006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며 자신이 기르던 고양이가 가족들에게서 버림받은 것을 계기로 고양이 사진을 찍어 왔다. 주인 없이 길거리를 헤매는 길냥이를 볼 때마다 드는 미안한 마음을 렌즈에 담았다.

2013년부터는 매해 길냥이 사진전을 열어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안씨는 “인간과 고양이는 결국 도심 생태계 내에서 공존해야 한다는 것을 알리는 게 목적”이라고 말했다.

 길냥이 사진을 찍으며 굳이 그가 필름 카메라만을 고집하는 이유는 뭘까. “‘필카’는 한 롤당 24컷만 찍을 수 있어요. 수십 장의 사진을 찍어 마음에 드는 한 장을 고르는 ‘디카’용 찍기가 불가능합니다. 필카가 순간순간 정성을 다해 찍을 수밖에 없는 이유죠.” 안씨는 “필카를 사용하면 정말 마음을 움직이는 장면만을 카메라에 담게 된다”며 “ 셔터를 누르는 과정이 더욱 신중해진다”고 말했다.

 필카의 매력으로 안씨는 ‘기다림’을 꼽았다. 사진을 찍고 현상소에 맡기면 며칠이 지나야 인화 사진을 받아 볼 수 있다. 안씨는 “기다림이 길수록 기대가 커지고 내가 찍은 사진 한 장 한 장을 더욱 소중하게 간직할 수 있게 된다”고 했다. 이렇게도 덧붙였다. “필카처럼 매 순간 진심을 담아 다른 생명을 대한다면 버려지는 반려동물도 없을 거예요.”

▶관련 기사 [카드뉴스] 장애인·길고양이 전문 사진가…들어보셨나요?

글=윤석만·정진우 기자 sam@joongang.co.kr
사진=오종택 기자

[단독] 중·러, 항모·전투기 한반도 시위 가능성

새누리 경선 격전지서 만난 박진-오세훈, 어색한 만남

김정일 떨게 한 F-22 랩터, 기체 속에 무기 감추고…

김무성 대표에게 도전장 낸 '증권계 장동건'

200만원어치 먹고 30만원 낸 세종문화회관 임원들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