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삶의 만족도 OECD 중 몇 위? '2015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 봤더니..'씁쓸'
|
사진=동아일보 DB |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공개된 OECD의 '2015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평가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80점으로 OECD 평균(6.58점)보다 낮았다.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순위는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27위에 그쳤다. 덴마크와 아이슬란드 스위스가 7.5점으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각각 6.7점으로 조사된 칠레와 멕시코보다 낮았다.
삶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국가는 경제위기를 겪고 있는 그리스로 조사됐다.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순위는 해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2013년 26위(6.0점·OECD평균 6.62점)2014년 25위(6.0점·OECD평균 6.6점)에서 올해 27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나이가 들수록 떨어졌다.
15∼29세의 만족도(6.32점)는 50대 이상(5.33점) 점수보다 1점 가량 높았다. 30∼49세의 만족도 점수는 3개 세대의 중간인 6.00점이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기는 했지만 한국 어린이가 처한 환경은 좋지 못했다.
부모가 아이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은 OECD 평균인 151분에 훨씬 못 미치는 48분으로 회원국중 꼴찌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 중 아버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하루 3분으로 OECD 평균 47분과 큰 차이를 보였다.
다만 2009년 이후 가계 수입, 금융 자산 등은 증가했다. 수입은 늘었으나 삶의 질은 점점 나빠지는 것으로 볼수 있다.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명 “국회·대통령 집무실 세종으로…임기 내 건립”
- [송평인 칼럼]대선 경쟁이 팽팽해지기 위한 3가지 조건
- [속보]한은, 기준금리 연 2.75% 동결
- 권성동 “이재명, 공수처 강화 공약은 대규모 정치보복 빌드업”
- 헌재 “권한대행이 재판관 지명, 극심한 혼란 생길 것”
- 美, 저성능 AI칩도 中수출 통제… 관세전쟁, 반도체로 확전
- 용인 일가족 살해 가장은 분양업체 대표… 수십억 사기 고발당해
- [단독]건진 “尹과 친분” 檢 진술… 尹장모와 10차례 통화 기록도
- 절대강자 없는 국힘 경선… 의원들 ‘어디에 줄서나’ 눈치게임
- 파월 “관세로 美물가 상승하고 성장 둔화될 것”…금리동결 시사